본문 바로가기
철학과 사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적 이해 : 실재론 VS 귀족주의자

by 유토 리아 2024. 9. 4.
반응형

 

 

아리스토텔레스: 실재론자와 귀족주의자로서의 철학적 이해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그의 철학은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 삶과 사고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는 표현 중 하나는 바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근본적으로 리얼리스트이자 귀족주의자였다”는 말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표현의 의미를 더 깊이 탐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철학적 아이디어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실재론의 의미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실재론자는 현실이 우리의 생각이나 인식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믿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이는 현실이 우리의 생각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믿는 이상주의(Idealism)와는 대조적인 입장입니다. 리얼리즘의 핵심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우리의 주관적인 인식과 무관하게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이 테이블은 여기에 있다"고 말할 때, 리얼리스트는 테이블이 그 사람의 인식과 상관없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반면, 이상주의자는 테이블이 그 사람의 인식 속에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리얼리스트의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감각을 통해 경험하는 물리적 세계가 진정한 현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그의 스승인 플라톤과의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플라톤은 감각적인 세계는 불완전하고 변하는 것이며, 진정한 현실은 완전하고 변하지 않는 이데아(Forms) 세계에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와 반대로, 이데아가 현실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모든 개별 사물 안에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쉽게 말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사물들, 예를 들어 나무, 돌, 강아지 등이 그 자체로 진정한 현실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는 이러한 사물들 속에 있는 고유한 본질이 그 사물들을 정의한다고 보았습니다.

 

귀족주의(Aristocratic)의 의미와 아리스토텔레스

 

귀족주의는 철학에서 사회나 국가의 통치를 덕망 있고 지혜로운 사람들, 즉 '최선의 사람들'이 맡아야 한다고 믿는 사상을 말합니다. 이는 민주주의처럼 다수의 의견에 따라 통치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정치철학에서 귀족주의적인 관점을 지지했습니다. 그는 덕망 있고 지혜로운 사람들이 이끄는 사회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믿었습니다. 그의 저서 "정치학(Politics)"에서는 여러 통치 형태를 분석하며, 덕 있는 사람들에 의해 통치되는 헌정적 정부를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제시했습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는 농부나 상인과 같은 일반 대중보다는 철학자나 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이 통치할 때 사회가 더 안정적이고 올바르게 운영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정부는 단순히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이고 교육받은 엘리트들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것이었습니다.

 

"최선의 사람들에 의한 통치란, 덕과 지혜를 갖춘 자들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정부 형태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철학적 아이디어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그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그의 주요 철학적 아이디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시와 함께 소개합니다.

 

  • 질료와 형상(Substance and Form):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사물이 질료(물질)와 형상(형태)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한 나무는 나무를 구성하는 물질(질료)과 그 나무의 고유한 특성(형상)으로 정의됩니다. 즉, 나무는 그 자체로 현실이며, 나무의 본질은 그 나무의 형태 속에 있습니다.

 

  • 사원인(Four Causes):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이 존재하거나 일어나는 이유를 네 가지 원인으로 설명했습니다:
    • 질료인(Material Cause): 예를 들어, 청동으로 만든 조각상에서 청동이 질료인입니다.
    • 형상인(Formal Cause): 조각상의 구체적인 모양이나 디자인입니다.
    • 작용인(Efficient Cause): 조각상을 만든 조각가가 작용인입니다.
    • 목적(End, Final Cause): 조각상이 만들어진 이유, 즉 그 목적입니다.
    •  
  • 덕윤리(Virtue Ethics): 아리스토텔레스는 덕 있는 삶이란 극단을 피하고 중용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용기는 비겁함과 무모함의 중간에 있는 덕목입니다. 그는 이러한 덕 있는 삶이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즉 '행복'과 '번영'을 가져다준다고 믿었습니다.

 

 

  • 목적론(Teleology):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의 모든 것이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도토리의 목적은 참나무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그는 이 목적론적 관점을 자연 세계와 인간 삶의 이해에 적용했습니다. 인간의 삶 역시 일정한 목적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결론

 

 

“아리스토텔레스는 근본적으로 리얼리스트이자 귀족주의자였다”는 문장은 그가 물리적 세계의 독립적 존재를 믿었으며, 이상적인 통치 형태로 덕망 있는 엘리트에 의한 통치를 지지했음을 의미합니다. 그의 철학 체계는 물리적 현실의 중요성, 사물과 인간 삶의 목적, 그리고 균형 잡힌 덕 있는 삶을 강조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서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여전히 유효하며, 그의 사상은 우리가 현실을 이해하고 더 나은 사회를 꿈꾸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됩니다. 그의 철학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삶과 사회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